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

청년, 경력단절여성, 고령자 등 특정 계층의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는 일정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가 중소기업에 취업하면, 근로소득세의 일부를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 

이번 글에서는 소득세 감면 대상, 감면율, 신청 방법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.



제도 개요

  • 제도명 :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

  • 법적 근거 : 조세특례제한법 제30조

  • 취지 : 청년·경력단절여성·고령자의 중소기업 취업 촉진 및 장기근속 유도

  • 감면 내용 : 일정 기간 동안 근로소득세의 70%~90% 감면


감면 대상자

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 중소기업에 취업할 경우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1. 청년

    • 만 15세 이상 ~ 만 34세 이하

    • 단, 병역 이행 기간은 나이 계산에서 제외 → 병역기간만큼 연령 상한 연장 가능

  2. 장애인

    • 「장애인복지법」에 따른 등록 장애인

  3. 경력단절여성

    • 결혼, 임신·출산·육아로 퇴직 후 3년 이상 경과

    • 재취업 시 감면 대상

  4. 고령자

    • 만 60세 이상


감면 제외 대상

  • 대기업 취업자는 해당 없음

  • 중견기업도 원칙적으로 제외 (일부 예외 조항 있음)

  • 감면 대상 업종이 아닌 경우 적용 불가

  • 임원(대표이사 등) 또는 최대주주는 대상 제외


감면율 및 기간

  • 청년, 장애인, 경력단절여성

    • 5년간 소득세의 90% 감면 (연 최대 150만 원 한도)

  • 고령자(만 60세 이상)

    • 3년간 소득세의 70% 감면 (연 최대 150만 원 한도)


신청 방법

  1. 중소기업 입사 시 → 회사 인사팀에 소득세 감면 신청서 제출

  2. 필요 서류 :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, 병적증명서(남성 청년의 경우), 장애인 증명서 등

  3. 회사가 원천징수 시 반영하여 매월 소득세를 감면 처리


예시로 보는 적용 사례

  • 28세 청년이 중소기업 입사 →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소득세의 90% 감면

  • 63세 고령자가 취업 → 취업 후 3년간 70% 감면

  • 출산 후 5년간 경력단절되었던 여성이 재취업 → 5년간 90% 감면


자주 묻는 질문 (Q&A)

Q1. 청년 나이 제한은 병역기간을 빼고 계산되나요?
A1. 네. 병역 이행기간(최대 6년)을 연령 계산에서 제외합니다.

Q2. 중소기업 여부는 어디서 확인하나요?
A2. ‘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’에서 확인 가능하며, 업종·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Q3. 이미 대기업에 근무하다 퇴사 후 중소기업으로 이직해도 적용되나요?
A3. 네, 중소기업 취업 시점 기준으로 요건을 충족하면 가능합니다.

Q4. 감면은 자동 적용되나요?
A4. 아닙니다. 반드시 본인이 신청서를 제출해야 회사가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
결론 및 CTA

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는 청년, 장애인, 경력단절여성, 고령자에게 매우 유리한 세제 혜택입니다. 단, 대상 요건과 기업 규모, 업종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, 입사 후 빠르게 신청해야 매월 원천징수 단계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취업을 준비 중이라면, 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세금 부담을 줄여보시길 권장합니다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