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건증은 음식점, 카페, 유치원, 어린이집 등 위생과 관련된 업종에서 근무할 때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. 최근에는 직접 보건소를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 훨씬 편리해졌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.
1.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발급 조건
-
대상: 식품위생업 종사자, 어린이집·학교·급식 종사자 등
-
검사항목: 결핵(X-ray), 장티푸스, 전염성 피부질환 등
-
유효기간: 발급일로부터 1년 (매년 갱신 필요)
👉 보건증은 먼저 보건소에서 검진을 받은 후 인터넷에서 발급 가능합니다.
2. 보건증 인터넷발급 절차
① 보건소 방문 및 건강검진
-
가까운 보건소 방문 → 신분증 지참
-
건강진단(혈액검사, 흉부 X-ray, 소변 검사 등)
-
결과가 나오기까지 약 3~7일 소요
② 인터넷 발급 사이트 접속
-
PC 및 모바일 모두 가능
③ 본인 인증
-
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, 휴대폰 본인인증 등으로 로그인
-
"건강진단결과서(보건증) 발급 조회" 메뉴 클릭
④ 출력
-
온라인에서 PDF 파일 형태로 확인 가능
-
프린터 연결 시 즉시 출력 가능
-
프린터가 없으면 파일 저장 후 PC방·문구점에서 출력 가능
3. 수수료
-
보건소 검사비: 약 3,000~5,000원 (지역별 상이)
-
인터넷 발급: 무료
4. 보건증 발급 시 주의사항
-
발급은 검진 받은 보건소에서만 가능 (타 보건소 불가)
-
발급 지연 주의: 검진 후 3~7일 뒤 확인 가능
-
유효기간 관리: 매년 새로 검진 후 갱신 필요
-
해외 취업·학교 제출용은 영문 보건증 발급 가능 (별도 신청)
Q&A: 보건증 인터넷발급
Q1. 병원에서도 발급 가능한가요?
→ 일부 종합병원·의원에서도 가능하지만 비용이 더 비쌉니다. 보건소 발급이 가장 저렴합니다.
Q2. 보건증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나요?
→ 재검진 필요 없이 G-health에서 다시 발급받으면 됩니다.
Q3. 모바일 보건증으로 제출해도 되나요?
→ 원칙적으로 종이 출력본 제출을 요구하는 곳이 많으므로 출력본 제출을 권장합니다.
Q4. 영문 보건증 발급은 어디서 하나요?
→ 일부 보건소에서 가능하며, 발급 가능 여부를 사전 문의해야 합니다.
Q5. 검진 후 바로 발급 가능한가요?
→ 아니요. 최소 3일~7일 정도 검사 결과가 나온 후 발급 가능합니다.
마무리
보건증은 보건소에서 건강검진 후 → 공공보건포털(G-health)에서 본인인증 → 출력하면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